[프로그래머스/python] 최솟값 만들기
문제 설명 길이가 같은 배열 A, B 두개가 있습니다. 각 배열은 자연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. 배열 A, B에서 각각 한 개의 숫자를 뽑아 두 수를 곱합니다. 이러한 과정을 배열의 길이만큼 반복하며, 두 수를 곱한 값을 누적하여 더합니다. 이때 최종적으로 누적된 값이 최소가 되도록 만드는 것이 목표입니다. (단, 각 배열에서 k번째 숫자를 뽑았다면 다음에 k번째 숫자는 다시 뽑을 수 없습니다.) 예를 들어 A = [1, 4, 2] , B = [5, 4, 4] 라면 A에서 첫번째 숫자인 1, B에서 두번째 숫자인 5를 뽑아 곱하여 더합니다. (누적된 값 : 0 + 5(1x5) = 5) A에서 두번째 숫자인 4, B에서 세번째 숫자인 4를 뽑아 곱하여 더합니다. (누적된 값 : 5 + 16(4x4) = 21..
파이썬(python) - 기본 문법 정리 (3)
사용자 정의로 리스트 정렬하기 리스트를 정렬할때는 list.sort() 함수와 sorted() 함수를 사용합니다. 둘의 차이점은 리스트 정렬하기 에서 소개하고 있습니다. 리스트를 정렬할때 사용자 정의로 정렬할 수 있습니다. 예를들어 리스트가 다음과 같이 있을 때 >>> li = [[2,3],[1,5],[4,1],[1,4],[3,2]] sort()함수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이 정렬됩니다. >>> li.sort() >>> li [[1, 4], [1, 5], [2, 3], [3, 2], [4, 1]] sort() 함수는 자동적으로 리스트의 각 아이템의 첫 번째 요소 순으로 정렬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. 여기서 두 번째 요소 순으로 정렬하고 싶다면 사용자 정의로 key 인자에 내가 커스텀할 함수를 비교 함수를 넘..
[프로그래머스/python] - 튜플
문제 설명 셀수있는 수량의 순서있는 열거 또는 어떤 순서를 따르는 요소들의 모음을 튜플(tuple)이라고 합니다. n개의 요소를 가진 튜플을 n-튜플(n-tuple)이라고 하며,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. (a1, a2, a3, ..., an) 원소의 개수가 n개이고, 중복되는 원소가 없는 튜플 (a1, a2, a3, ..., an)이 주어질 때(단, a1, a2, ..., an은 자연수), 이는 다음과 같이 집합 기호 '{', '}'를 이용해 표현할 수 있습니다. {{a1}, {a1, a2}, {a1, a2, a3}, {a1, a2, a3, a4}, ... {a1, a2, a3, a4, ..., an}} 예를 들어 튜플이 (2, 1, 3, 4)인 경우 이는 {{2}, {2, 1}, {2, 1, ..